/ | dev | / | hd 또는 sd | a 또는 b 또는 c..... | 1 or 2 or 3 or 4 or 5 ... |
파티션이란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를 여러개의 논리적 디스크로 분할하는 것이다.
분할된 파티션은 디스크의 장치 파일 명 뒤에 숫자로 알 수 있다. 즉 논리적으로 분할된 것은 뒤의 숫자를 보고 판단하며, 물리적으로 정말 다른 장치라는 것은 알파벳을 보고 알 수 있다.
例) /dev/hda3 = 첫번째 IDE(또는 ATA) 하드디스크의 세번째 파티션
/dev/sda2 = 첫번째 SCSI 디스크(또는 USB)의 두번째 파티션
hd | IDE , ATA |
sd | SCSI , USB |
파티션 번호 :
- 1~4번 : 주파티션, 확장파티션
- 5 이상 : 논리 파티션, *스왑 파티션
*스왑 파티션은 디스크의 일부분을 메모리 용량이 부족할 때를 대비하여 마치 메모리처럼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해 놓은
파티션이고 권장 설정 크기는 메모리 용량의 2배이다.
주 파티션 최대 개수 4개, 그중 하나를 확장파티션으로 설정하고 또 그 파티션 속에 12개의 논리 파티션을 지정할 수 있다. 총 16개의 파티션 ( 주 파티션 3개 + 확장 파티션 1개 + 논리 파티션 12개 ) 을 만들 수 있고, 그 중 확장 파티션은 논리 파티션들을 담는 그릇역할만을 수행하며 저장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파티션이다. 따라서 최대 가용 파티션 갯수는 15개가 된다.
'공부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] 프로세스 (0) | 2019.05.06 |
---|---|
[리눅스] mount와 umount (0) | 2019.05.02 |
[Linux] tar.gz파일 설치법 , deb 파일 설치법 , Libre Office 설치법 (0) | 2019.04.30 |